매년 개정되는 세법, 끝없이 쏟아지는 예규와 판례 때문에 골치 아프신가요? 방대한 회계감사 자료 속에서 원하는 정보를 찾느라 밤샘 근무에 시달리고 계신가요? 수많은 공인회계사들이 복잡하고 반복적인 업무에 소중한 시간을 뺏기고 있습니다. 이처럼 많은 회계 전문가들이 정보 검색과 분석에 드는 막대한 시간과 노력으로 인해 정작 중요한 의사결정과 가치 창출에 집중하지 못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회계 업무 효율, ChatCPA로 날개를 달다
- 방대한 정보의 바다에서 AI가 찾아주는 핵심 정보
- 반복적인 질문과 답변은 이제 그만, 스마트한 업무 파트너
- 디지털 전환 시대, 회계 전문가의 경쟁력을 한 단계 위로
AI 챗봇 ChatCPA, 회계사의 새로운 경쟁력
한국공인회계사회(KICPA)가 회원들을 위해 인공지능(AI) 기반 회계·세무 전문 서비스 ‘ChatCPA’를 선보였습니다. 이는 회원들이 실질적인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최초의 AI 서비스로, 회계 업무의 패러다임을 바꿀 혁신적인 도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ChatCPA는 방대한 양의 회계기준서, 세법 관련 예규 및 판례 등 전문 지식정보를 탑재하여 공인회계사들의 정보 검색과 분석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켜 줍니다. 이는 곧 회계감사, 세무조정, 기업진단 등 다양한 업무의 효율성 증대로 이어집니다.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 탐색의 시작
회계와 세무 관련 기준 및 법률은 거의 매년, 때로는 반기마다 개정되어 전문가들조차 모든 내용을 숙지하기 어렵습니다. ChatCPA는 이러한 개정 사항을 신속하게 반영하여 최신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자연어로 질문해도 대규모 언어 모델(LLM)이 답변의 출처와 근거를 명확히 제시하여 정보의 신뢰도를 높였습니다. 텍스트 검색과 벡터 검색을 결합한 시맨틱 서치(semantic search)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정교한 답변을 제공하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 예를 들어, ‘공장 가치’와 같은 키워드로 검색하면 손익계산서상 감가상각비 관련 원칙 내용까지 찾아주는 식입니다.
주요 기능 | 기대 효과 |
---|---|
K-IFRS 등 회계기준서 및 질의회신 데이터 탑재 | 회계감사 및 재무자문 업무의 정확성 및 효율성 증대 |
약 26만 건의 세법 관련 예규 및 판례 제공 | 법인세, 소득세 등 세무조정 및 세무컨설팅 업무 지원 강화 |
최신 개정 법규 및 기준 신속 반영 | 변화하는 규제 환경에 대한 선제적 대응 가능 |
자연어 처리 및 시맨틱 서치 기술 적용 | 사용자 편의성 극대화 및 정보 검색 시간 단축 |
미래를 준비하는 회계 전문가의 비법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AI 활용 능력은 회계사의 필수 역량이 되었습니다. 한국공인회계사회는 ChatCPA 출시를 시작으로 AI 기술과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회계·세무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할 계획입니다. 이는 단순히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넘어, 공인회계사들이 변화하는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더 큰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내부회계관리제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M&A 가치평가 등 전문 분야의 업무 생산성을 높이는 데에도 ChatCPA가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앞으로 회원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서비스를 고도화해 나갈 방침이라고 하니, 더욱 발전할 ChatCPA의 미래가 기대됩니다.